반응형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및 조건

완벽 정리 해드릴게요!


저는 고등학교 졸업하자마자 대학교 시절부터 평일에는 학교 끝나고 아르바이트를 많이 했었습니다. 안해본 아르바이트가 없을 정도로 정말 열심히 살아왔다고 자부합니다. 지금은 뭐 직장을 얻어서 남부럽지않은 월급 받아가며 살아가고 있어요!




아르바이트는 생계를 위해서 하는 사람도 있고, 나이 많은 어르신들도 하는 경우가 종종 있고, 대부분 주휴수당 이라는 것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그래서 마땅히 받아야할 수당을 지급받지 못해서 손해 보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지금 부터 해결책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도대체 그것이 무엇인데? 우리가 받아야 하는 것이냐? 라는 건데요. 근로자는 일주일에 주 1회 이상 유급 후무를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계약직 (아르바이트 포함), 정직원, 임시직 등등 어떠한 근로 형태라도 주휴 수당은 그 어느 누구도 예외 없이 적용 된다고 합니다. 



자! 이제 조건이 있는데요! 1주일 단위로 근무 하면 최소 15시간 근무시간을 채워야 합니다. 그리고, 개근 해야 하는 것이 포인트 입니다. 만약 해당 주에 결근을 하게 되면, 무급 휴가로 하루를 쉬게 되는 것 입니다. 돈을 받기 위해 개근은 필수 입니다. 



사실, 계산법은 그렇게 복잡하지 않습니다. 1주일 근로를 주당 근로시간으로 정해진 40시간을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아래 공식을 보겠습니다. [(1주일 동안 근로한 시간/40시간) x 8 x 여러분이 받는 시급] 이렇게 하면 보통 본인이 일한 만큼의 하루의 수당이 나온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당연히 괄호 안에 있는 것 먼저 계산해야 되는건 다들 아시죠? 혹시 모르시는 분 계실까봐 친절하게 알려드립니 



정규직 같은 경우는 주휴수당이 월급에 이미 포함 되어 있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허나, 아르바이트, 임시직, 등등 이러한 제도를 아예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법으로 정해져 있는 것이니, 꼭 합당하게 받을 수당은 꼭 챙겨 받는 사람이 되도록 합시다. 이상으로 아르바이트 주휴수당 및 조건 완벽 정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