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정말 시원해졌죠? 조금만 지나면 가을이 성큼성큼 올 것 같아요. 찬바람이 불때면 저는 호빵과 더불어 딱 하나가 떠오르는데 바로 안구건조증 입니다. 특히 겨울에는 정말 난리가 나죠. 눈이 너무 뻑뻑하고 건조하고 눈도 시리고 참 불편합니다.
안구건조증은 바람이 불고 건조한 가을철에는 눈의 수분이 증발하기 쉽기에 잘 발생하는데요. 이로 인해 눈이 건조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눈물이 부족해지고 자극을 받으면서 ‘안구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는 겁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지 않거나 빠르게 증발하면서 눈이 건조해지는 질환이구요. 눈물층이 보호·윤활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 눈이 건조해지고, 이물감, 눈 시림, 시야 흐려짐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두통을 겪기도 하는데 눈물이 눈 표면을 적셔주지 못하면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세균을 죽이는 기능도 떨어지는데, 이로 인해 눈물 내 영양물질과 면역물질이 줄고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이 증가하면서 시력 저하, 결막염·각막염 등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건조한 환경 외에도 장시간 PC 작업, 콘택트렌즈 착용, 라식·백내장 수술, 항히스타민제·혈압약 복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스마트폰·PC 사용량 증가로 인해 계속해서 환자 수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제 주변만 봐도 안약을 달고 사는 친구들도 정말 많아요,
안구건조증은 1단계에서 4단계로 진행 된다네요. 단계에 따라 증상은 물론 대처법도 다르구요. 우선, 1단계에서는 뻑뻑함·이물감(눈 자극 증상)을 느끼거나, 눈이 침침하고 잘 보이지 않는 증상(시각 증상)이 1~2일 사이 3~4회 정도 나타납니다. 이때는 인공눈물을 넣고, 눈에 바람을 쐬지 않는 등 주변 환경개선이 필요한거죠.
2단계에 접어들면 눈 자극 증상과 시각 증상이 하루 4~5회 이상 나타나구요. 각막에 염증이 생겼을 경우 항염증 성분 안약을 2~3개월 이상 넣어야 하며, 인공눈물은 하루 5회 이상 점안해도 문제가 없는 무방부제 인공눈물만 사용하도록 합니다.
4단계에 이르면 눈꺼풀, 결막 등이 서로 붙으면서 결막에 영구적인 상처가 남을 수 있는정도. 불편함 또한 지속되는거죠. 이 경우 각막이식 등의 수술이 필요하거나, 4주 이상 전신성 항염증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4단계는 전체 안구건조증의 약 1% 수준!!
안구건조증 예방을 위해서는 평소 올바른 생활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내에서는 냉·난방기에 눈이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가습기를 틀어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도록 합니다, 50분에 한 번씩 눈을 감는 등 주기적으로 휴식을 취하는 것도 도움이 되구요. 콘텍트렌즈는 눈 속 수분을 흡수해 눈을 건조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안구건조증 증상이 심하다면 렌즈 대신 안경을 착용하도록 합니다. 안경은 차고 건조한 바람 등으로부터 전해지는 자극을 줄여주는 역할도 한다는점 꼭 유념해주세요 !!.
'7분전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멍 때리기 대회가 다시 열린다고? (0) | 2022.08.29 |
---|---|
한국 부자들의 공통점 제대로 알려줄게 (0) | 2022.08.28 |
아이폰 14 출시일 가격 모두 알려줄게. (1) | 2022.08.27 |
목성 제대로 찍히다 (0) | 2022.08.27 |
' 조용히 그만두기 ' 뭘 그만둬? (0) | 2022.08.27 |